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179

변온동물(變溫動物, poikilotherm) 항온동물(恒溫動物, homoiotherm) 1. 변온동물(變溫動物, poikilotherm)변온동물(變溫動物, poikilotherm)은 주위 환경의 온도에 따라 체온이 변하는 동물을 말한다. 포유류나 새처럼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항온동물(恒溫動物, homoiotherm)과 반대 개념이다. 뱀, 개구리 물고기, 곤충 같은 동물들이 대표적인데, 이들은 스스로 체온을 조절할 능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햇볕을 쬐거나 시원한 곳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체온을 맞춘다. 예를 들어, 뱀이 아침에 돌 위에서 일광욕을 하는 것도 몸을 따뜻하게 데우기 위해서이다. 또, 대사 활동도 체온에 영향을 많이 받아서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고, 높아지면 활동이 활발해진다. 정리하면, 변온동물은 환경 온도에 따라 체온이 달라지고, 그에 따라 활동 수준도 달라지는 .. 2025. 9. 22.
소리 예술(sound art)의 세계: 클랑쿤스트(Klangkunst) 1. 클랑쿤스트(Klangkunst)클랑쿤스트(Klangkunst)는 독일어로 “소리 예술(sound art)”을 뜻한다. 어원을 살펴보면 Klang은 소리, 울림, 음향을 의미하고, Kunst는 예술, 아트다. 직역하면 “울림의 예술” 혹은 “소리 예술”이라 표현할 수 있다. 클랑쿤스트는 전통적인 음악(음악 작품, 악보, 연주)에 국한되지 않고, 소리 자체를 예술적 매체로 삼는 예술 전반을 가리킨다. 음악, 설치미술, 퍼포먼스, 라디오 아트, 전자음악, 환경음악 등이 겹치는 지점에서 자주 사용된다.2. 클랑쿤스트(Klangkunst) 특징소리를 단순히 배경음이 아니라 형식·내용·경험의 중심으로 다룬다. 전통 음악처럼 “조화”나 “선율”을 중시하지 않고, 잡음(noise), 환경음, 기계음, 목소리, 전.. 2025. 9. 19.
아무 감정도 느껴지지 않아요: 둔마(鈍麻, blunting / dulling) 1. 둔마 (鈍麻, blunting / dulling)둔마란 감정이나 감각, 반응이 비정상적으로 무뎌진 상태를 의미한다. 주로 정서 둔마(affective blunting) 혹은 정서 반응 둔마(emotional blunting)라는 표현으로 많이 쓰이는데, 기쁜 일에도 별 감정이 없거나 슬픈 일에도 눈물 한 방울 없이 무덤덤하거나 타인의 감정에 무관심하거나 공감하지 못하는 등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감정이 사라진 느낌을 호소하기도 하는 등의 특징이 나타난다.2. 정서 둔마상담심리학에서는 정서 둔마가 자기 보호를 위한 무의식적 방어기제로 작동할 수 있다고도 본다. 즉, 감정적으로 너무 고통스럽거나 위협적인 경험을 처리하지 못할 때, 그 감정을 무디게 하여 스스로를 보호하려는 심리적 전략인 셈이다.. 2025. 9. 15.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의 핵심 증상: 플래시백(flashback) 1. 플래시백(flashback)상담심리학에서 "플래시백(flashback)"은 외상 경험(trauma) 이후에 그 사건이 다시 현재에 일어나는 것처럼 생생하게 재경험되는 심리 현상을 말한다. 이는 단순한 기억 회상이 아니라, 감각적인 동시에 감정적으로 그 순간에 다시 빠져드는 것이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서 핵심 증상 중 하나로 과거의 외상 장면이 마치 ‘지금, 여기’에서 실제로 벌어지는 것처럼 느껴지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폭력 피해 생존자가 폭행 장면과 유사한 소리를 들었을 때, 의자 밑에 숨고 식은땀을 흘리는 것도 플래시백 증상일 수 있다. 또한 교통사고 경험자가 비 오는 날 와이퍼 소리에 과거 사고 장면을 생생히 떠올리는 것도 그렇다. 성폭력 생존자가 특정 향수 냄새에 반응해, .. 2025. 9. 12.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_ 「저자의 죽음」과 「수행적 글쓰기」(performance writing) 1.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의 "저자의 죽음"과 "수행적 글쓰기(performance writing)" 바르트는 텍스트를 항상 "지금-여기"에서 쓰이고 있는 현재진행형이라고 본다. 과거의 '저자'가 작품을 완결해 놓고 독자가 그것을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는 읽는 순간마다 그 글을 '다시 쓰는' 참여자가 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내면을 숙고하는 주체'로서의 저자는 죽고, 텍스트만이 살아있다고 한다. 즉, 언술행위의 시간만 존재한다는 것이다.바르트는 여기서 언어학의 ‘수행동사(performatives)’ 개념을 빌린다. 예를 들어, “나는 선언한다”, “나는 약속한다”라는 식의 말하는 행위가 곧 그 행동이 되는 발화인 것이다. 글쓰기도 마찬가지로, ‘쓴다’는 행위 자체가 목적이며, 외.. 2025. 9. 10.
환대(hospitalité)로서의 주체성 -레비나스 1. 환대(hospitalité)로서의 주체성레비나스는 주체를 자기완결적인 존재가 아니라, 타자를 맞아들이는 자리로 본다. 여기서 ‘환대’는 단순한 친절이 아니라, 타자가 내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나 자신을 개방하는 존재 방식을 의미한다. 레비나스가 말하는 주체성은 타자에게 응답하는 책임 속에서 형성되는 것이다.2. 데카르트의 무한 개념레비나스는 데카르트의 무한 개념을 참조한다. 무한이란, 결코 내 의식이 ‘다 담아버릴 수 없는 것’ 즉 타자의 초월성을 가리키는 것이다. 무한의 이념은, 내가 타자를 완전히 ‘앎’이나 ‘개념’으로 흡수할 수 없음을 전제하고 있다. 따라서 주체성은 타자와의 불일치, 쉽게 말해서 내가 결코 닿을 수 없는 간극 속에서만 성립한다. 이 간극을 긍정하고 타자를 받아들이는 것이 .. 2025. 9.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