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0

넌 왜 나를 이용하니? 계산된 친절, 마키아벨리즘의 정체 니콜로 마키아벨리, 그 이름의 시작 마키아벨리즘은 니콜로 마키아벨리(Niccolò Machiavelli)라는 이탈리아 정치 사상가에게서 시작됐다. 500년도 더 된 사람인 그는 “군주는 착하기만 해선 안 돼. 때로는 속이고, 위협하고, 냉정해져야 해.”라고 말했다. 그의 대표작 '군주론(The Prince)'에서는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한다’, 즉 결과가 좋으면 과정은 조금 수상해도 괜찮다는 논리를 펼친다.마키아벨리즘, 지금 우리 곁에 있다 마키아벨리즘은 오늘도 교실, 회사, 길거리, 심지어 단톡방에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런 친구를 떠올려보자.“걔랑 친하면 선생님한테 잘 보일 수 있어.” 그래서 일부러 다가가는 A. “이럴 때는 울어야지, 그래야 사람들이 내 편이 되거든.” 눈물 한 방울 ‘툭’. 시험 .. 2025. 4. 15.
"나는 내가 제일 좋아!" -나르시시즘의 빛과 그림자 1. 나르시시즘은 어디서 왔을까? ‘나르시시즘(Narcissism)’이라는 말은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나르키소스(Narcissus)라는 청년의 이름에서 나왔어. 그는 너무 잘생겨서 자기 얼굴에 반했어. 그래서 연못에 비친 자기 모습을 보다가 결국 그 자리에서 꽃이 되었다는 이야기야. 이 신화는 지나친 자기 사랑이 결국 자신을 해칠 수 있다는 교훈을 담고 있지.2. 프로이트와 나르시시즘 이 개념을 심리학 이론으로 발전시킨 사람은 바로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야. 그는 인간의 마음을 연구하면서, 모든 사람 안에는 자신을 사랑하고 싶은 마음, 즉 자기애가 있다고 봤어. 이 자기애는 건강한 수준이라면 자신감을 주고 삶에 활력을 주지만, 너무 강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했지. 3. 건강한.. 2025. 4. 14.
애착의 네 가지 얼굴- 메리 에인스워드 박사의 애착 이야기 1. 메리 에인스워드 Mary Ainsworth 메리 에인스워드(Mary Ainsworth)는 캐나다 출신의 심리학자로, 아이들이 엄마와 어떤 관계를 맺는지가 평생 감정과 관계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연구한 사람이야. 특히 그녀는 '낯선 상황 실험(Strange Situation)'을 통해 아기들의 반응을 관찰하면서 애착 유형을 구분해 냈어. 이 연구는 지금까지도 심리학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으로 여겨지고 있어. 2. 애착이란 뭘까? 애착(Attachment)이란 아기가 엄마나 아빠와 맺는 감정적인 유대관계를 말해. 아기들은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기 때문에, 누군가가 자신을 보살펴주고 지켜줄 것이라는 믿음이 필요해. 이 믿음이 잘 형성되면 마음도 안정되고, 자라서도 다른 사람과 건강한 관계를 맺을 수 있.. 2025. 4. 13.
우울을 해결하는 ABC 공식- 엘리스의 합리적 정서행동이론 1.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 앨버트 엘리스(Albert Ellis)는 미국의 심리학자로, 원래는 정신분석을 공부했지만, 사람들이 너무 오랫동안 치료받아도 별 변화가 없다는 걸 느끼고 새로운 방법을 찾았어. 그래서 그는 생각, 감정, 행동 사이의 관계에 집중하면서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라는 이론을 만들었지. 이 이론은 지금도 전 세계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어.2. 감정은 어디서 생기는 걸까? 엘리스는 많은 사람들이 “기분이 나쁜 건 상황 때문이야”라고 생각한다고 했어. 예를 들어, “시험을 망쳐서 우울해” “친구가 나를 무시해서 화나”라고 하지. 하지만 엘리스는 그 상황 자체가 아니라, 그 상황을 해석하는 생각이 감정을 만든다고 말했어. 즉, 시험을 망친 나는 쓸모가 없다고 생각하니까.. 2025. 4. 11.
생각이 기분이 되고, 기분이 태도가 될 때- 아론 벡의 인지 치료 아론 벡(Aaron Beck) 아론 벡(Aaron Beck)은 미국의 정신과 의사이자 심리학자로,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라는 치료법을 만든 사람이야. 그는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람들을 상담하다가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어. 많은 사람들이 현실보다 더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거였지. 벡은 이런 생각의 틀, 즉 인지가 감정과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했어. 그래서 마음을 바꾸려면 먼저 생각을 들여다보고 바꿔야 한다고 말했지. ⸻ 사건 → 생각 → 감정 → 행동 아론 벡은 우리 마음이 이렇게 작동한다고 설명했어.예를 들어, 친구가 지나가면서 인사를 안 했을 때, 어떤 사람은 “아, 나를 무시했나 봐”라고 생각해서 속상해지고, 어떤 사람은 “아, 바빴나 보네”라고 생각하고 그냥 넘.. 2025. 4. 10.
똑똑한 뇌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지지 않는다- 피아제의 아동발달이론 피아제는 누구일까? 장 피아제(Jean Piaget)는 스위스 출신의 심리학자이자 생물학자였어. 그는 아이들과 대화를 나누면서 아주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했지. 아이들은 어른보다 단순하거나 모자란 존재가 아니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세상을 이해하고 있다는 거야! 그래서 그는 아이들이 나이에 따라 어떻게 사고방식이 바뀌는지를 연구했고, ‘인지 발달 이론’이라는 멋진 이론을 만들어냈어. ⸻ 1단계. 감각운동기 (출생~2세) 이 시기의 아기들은 말은 못 하지만 감각(보는 것, 듣는 것, 만지는 것)과 움직임을 통해 세상을 배워. 예를 들어, 장난감을 만져보고, 입에 넣어보고, 소리에 반응하지. 또 이 시기 후반쯤에는 중요한 개념인 ‘대상 영속성’이 생겨. 이건 ‘엄마가 안 보여도 존재한다’는 걸 이해하는 거야.. 2025. 4.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