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여자의 방, 몸의 기억: 김진아 감독의 영화 <그 집 앞>
1. 그 집 앞 (2003)그녀는 조용히, 그러나 깊게 말한다. 김진아 감독의 첫 극영화 『그 집 앞』은 속삭임처럼 시작되어, 마음 깊은 곳에 잔잔한 파문을 남긴다. 이 영화는 두 여성, 가인과 도희의 이야기를 통해 여성의 내면과 몸의 기억을 섬세하게 그려낸다.2. 김진아 감독김진아 감독은 서울대학교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미국 칼아츠에서 영화를 공부했다. 그녀는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큐멘터리 『김진아의 비디오일기』를 통해 주목을 받았으며, 『그 집 앞』은 그녀의 첫 극영화로, 여성의 몸과 욕망, 내면의 심리를 탐구하는 작품이다.3. 그 집 앞 속 두 여자가인(최윤선)은 미국에 거주하는 유학생으로, 거식증을 앓으며 집안에 칩거한다. 그녀는 남자친구 희수(정찬)와의 이별 후, 허전함을 달래기 위해 ..
2025. 5. 7.
"조용한 눈물, 그리고 63년: <송환>과 두 개의 시간"
1. 영화 Repatriation그들은 아무 말이 없었다. 세월이 목소리를 앗아간 것도 있었고, 이야기라는 것이 그들의 삶에서 너무 오래 금지된 것이기도 했다. 카메라 앞에 앉은 노인의 눈동자는, 어딘가 아주 먼 곳을 바라보고 있었다. 아주 멀고도, 아주 가까운 북쪽. 은 그 눈동자를 따라가는 영화다.2. 김동원 감독이 영화를 만든 사람은 김동원 감독이다. 그는 다큐멘터리 영화계에서 오랜 시간 묵묵히, 깊이 있는 작업을 해온 사람이다. , 같은 작품을 통해 이 땅의 노동자, 빈민, 소수자들의 삶을 기록해 왔다. 그는 늘 말보다 가까이 있었고, 카메라는 그저 곁에 머물렀다. 김동원 감독은 인터뷰에서 이런 말을 한 적 있다. “나는 그저 카메라를 들고 있었을 뿐입니다.” 하지만 그 카메라는, 세상에서 가..
2025.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