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145 1970년대 서울의 진짜 얼굴: 영화 <서울 7000> 1. 서울 7000 (seoul 7000)1976년 영화 은 1970년대 한국 사회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은 역동적으로 변화하는 서울의 도시화와 산업화 속에서 삶을 이어가는 사람들을 담아내며 1970년대 당시의 서울을 날것 그대로 보여준다. 개봉 당시에는 안타깝게도 흥행에 실패했다. 2. 서울 7000의 시대적 배경1970년대 한국 사회는 급변하던 시기였다. 경제 개발이 시작됐고, 지방에 살던 사람들은 서울로 올라오기 시작했다. 많은 인구가 집중적으로 몰린 서울은 복잡하고 붐비는 지역이 되었다. 그렇기 때문에 빈부격차나 노동 문제, 교통 문제 등 여러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3. 서울 7000 줄거리성공을 꿈꾸며 서울로 올라온 시골 청년은 더 나은 미래를 위해 도시에서 열심히 살아간다. 하지만, 현실은 .. 2025. 3. 28. 시간을 초월한 실험영화: 여성 감독 한옥희의 <색동> 1. 색동 Color Of Korea (Saekdong) 한옥희(Han Ok-hi / 韓玉姬) 감독의 영화 은 1976년 개봉했다. 이 영화는 상업 영화 식 이야기 전개를 배제하고 예술적이고도 실험적인 방식으로 영화를 전개했다. 여성 감독이 흔하지 않았던 1970년대 영화계에서 한옥희 감독의 독창적인 실험 영화인 은 한국 영화계의 숨겨진 걸작이다. 1970년대 한국 영화는 검열과 상업성의 아슬아슬한 줄타기였다. 국가는 영화 내용을 엄격하게 통제했고 그 탓에 액션 영화나 멜로 같은 장르의 영화만 극장을 장악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한옥희 감독은 당시 분위기에 아랑곳하지 않고 독창적인 실험영화를 선보였다. 단순히 웃고 즐기는 팝콘 무비가 아니라 사회와 인간을 탐구하는 작품이었다.2. 색동 줄거리앞서 말.. 2025. 3. 27. 조선 시대 문학: 양반과 백성이 즐긴 문학은 달랐다! 1. 조선 시대 문학조선 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은 양반 계층의 사대부 문학과 백성들이 즐기고 창작한 민중 문학으로 나뉜다. 사대부 문학은 유교적 가치와 학문을 강조했고, 민중 문학은 말 그대로 백성들의 현실을 보여줬다. 두 문학은 여러 면에서 다르지만, 조선 시대 문학을 다양하게 하고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2. 사대부 문학사대부는 학문을 중히 여기고 정치에 관여하는 지식인들이자 권력을 가진 계층이다. 사대부 문학은 바로 이들이 만든 문학을 가리킨다. 조선은 유교 사상을 따르는 나라였기 때문에 조선 시대 사대부들 역시 유교적 가치를 가진 문학을 창작했다. 대부분 한자로 쓰인 작품들이었다. 또 시조처럼 3장 6구 4음보 같은 형식을 따르는 작품이 많았다. 사대부 문학은 효나 충, 인의예지 등과.. 2025. 3. 26. 고려가요와 경기체가: 조선시대에서도 살아남은 이유 1. 고려가요고려가요는 말 그대로 고려 시대에 유행했던 노래이다. '속요'라고도 불렸고, 주로 민중들 사이에서 널리 유행했다. 고려가요는 입에서 입으로 전해졌는데 후에 '악장가사'나 '시용향약보' 같은 책에 일부가 쓰이면서 후대까지 남게 된 것이다. 대표작으로는 , 등이 있다. 의 후렴구인 "얄리 얄리 얄라셩 얄라리 얄라" 같은 경우 운율감을 살려서 노래를 더 리듬감 있고 부르기 쉽게 만들었다. 또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같은 구절처럼 자연을 소재로 한 표현들이 많았다. 의 경우 떠나가는 사람에 대한 슬픔과 아쉬움을 표현했는데, 이처럼 사랑과 이별도 많이 다뤄졌다. 2. 경기체가경(景)과 기(幾)라는 한자를 더해 경사스럽고 풍요롭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경기체가는 문장 구조가 길고, .. 2025. 3. 25. 신라 향가: 천 년 전에도 사랑과 이별을 노래했던 사람들 1. 향가현재 우리가 음악을 듣고 노래방을 가는 것처럼 신라 사람들 또한 스스로의 감정을 표현하고 사랑 혹은 이별을 노래하기 위해 특별한 방식으로 시를 지었다. 그것이 바로 '향가(鄕歌)'이다. 향가는 신라 시대 사람들이 우리말로 지은 시다. 당시 귀족 대부분은 한자를 썼지만, 일반 시민들은 한자의 발음을 가져와 우리말로 적는 이두라는 방법으로 우리말 노래를 만들었다.2. 향가의 형식향가는 줄의 개수에 따라 4구체 향가, 8구체 향가, 10구체 향가로 나뉜다. 대표적인 4구체 향가로는 서동이 지은 '서동요(薯童謠)'가 있다. 아주 짧고 간결한 노래이다. 8구체 향가는 4구체 향가보다 조금 더 길다. 대표적인 8구체 향가로는 '기파랑'이라는 인물을 칭송하는 '찬기파랑가(讚耆婆郞歌)'가 있다. 10줄로 구성.. 2025. 3. 24. 한국 시문학 변천사: 고대 가요부터 현대시까지 1. 고대가요고대가요는 집단적 성격이 짙은 말로 정착된 문학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기록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처음에는 종교적이고 주술적인 집단적 정서가 강했지만, 시간이 흘러 개인적인 정서를 반영하는 쪽으로 발전되었다. 대표작으로는 가야 건국 신화와 관련된 구지가와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서정시인 황조가가 있다. 2. 향가향가는 불교적 정서가 강하고 4구체, 8구체, 10구체 등으로 나뉘는 정형적 형식을 띠고 있다. 당시 민중들은 현실적인 주제를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창작했다. 대표작으로는 신라 서동이 만든 서동요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 죽은 누이를 애도하고 기리며 지은 향가인 제망매가 등이 있다.3. 고려가요고려가요는 민중이 즐겼던 속요와 귀족들이 향유했던 경기체가로 나뉜다. 고려가요는 자연과 인생.. 2025. 3. 23.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 2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