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한국 시문학 변천사: 고대 가요부터 현대시까지

by Godot82 2025. 3. 23.
반응형

한국문학-고대가요-현대시
한국문학-고대가요-현대시

 

1. 고대가요

고대가요는 집단적 성격이 짙은 말로 정착된 문학이다.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에 기록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처음에는 종교적이고 주술적인 집단적 정서가 강했지만, 시간이 흘러 개인적인 정서를 반영하는 쪽으로 발전되었다. 대표작으로는 가야 건국 신화와 관련된 구지가와 고구려 유리왕이 지은 서정시인 황조가가 있다. 

2. 향가

향가는 불교적 정서가 강하고 4구체, 8구체, 10구체 등으로 나뉘는 정형적 형식을 띠고 있다. 당시 민중들은 현실적인 주제를 한문이 아닌 우리말로 창작했다. 대표작으로는 신라 서동이 만든 서동요와 충담사의 찬기파랑가, 죽은 누이를 애도하고 기리며 지은 향가인 제망매가 등이 있다.

3. 고려가요

고려가요는 민중이 즐겼던 속요와 귀족들이 향유했던 경기체가로 나뉜다. 고려가요는 자연과 인생에 관련된 성찰을 서정적으로 표현했다. 대표작으로는 민중들이 즐겼던 속요인 청산별곡이 있다. 청산별곡은 삶의 터전을 잃은 유랑민의 슬픔을 청산에 대한 동경으로 보여준다. 이별의 슬픔을 담은 가시리도 있고, 고려 문인들이 쓴 경기체가인 한림별곡도 있다.

4. 조선시대 시조

조선시대 시조는 3장 6구의 정형성을 유지했다. 사대부들은 시조에 자신들의 철학과 서민들의 생활상을 담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고려 왕조를 지키기 위해 목숨까지 바쳤던 정몽주의 단심가가 있다. 여성 시인이었던 황진이의 시조와 정철의 관동별곡도 당시 대표적인 시조로 꼽힌다.

5. 개화기 신문학

개화기 시기의 시들은 한국 문학이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전통적인 운문 문학이 서구의 문학 형식과 섞이며 이전과 다른 작품들이 등장한다. 최남선은 해에게서 소년에게라는 시를 썼고, 김소월은 전통적 정서를 담은 서정시 진달래꽃을 썼다. 윤동주의 서시는 일제강점기라는 역사적 비극 속에서 저항 문학으로 중요한 지점에 놓였다. 

6. 해방 이후 한국 현대시

해방이 되고 한국 현대시는 여러 실험적인 방향으로 흘러갔다. 전통과 새롭고 현대적인 것을 합친 형식으로 전쟁의 상흔을 표현하거나 민중의 피폐한 삶을 반영하거나 개인적인 감수성을 강조하는 등 다양한 시들이 등장했다.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 김수영의 폭포는 현실 참여를 기형도의 안개는 1980년대 도시인이 느끼는 외로움과 고립감을 표현한 대표적인 작품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