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증의 문(Gate)을 조절 하라: 통증관문조절이론 Gate Control Theory of Pain

by Godot82 2025. 8. 25.
반응형

통증관문조절이론-Gate Control Theory of Pain
통증관문조절이론-Gate Control Theory of Pain

 

1. 통증관문조절이론 Gate Control Theory of Pain

통증의 관문조절이론(Gate Control Theory of Pain)은 1965년, 로널드 멜잭(Ronald Melzack)과 패트릭 월(Patrick Wall)이 제안한 이론으로, 통증이 단순히 말초 신경에서 대뇌로 직선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척수에서 ‘관문’ 역할을 하는 신경기전이 통증 신호의 전달을 조절한다는 개념이다.

 

즉, 우리 몸에는 ‘통증의 문(Gate)’이 있어서 이 문이 열리면 통증 신호가 뇌로 전달되고, 닫히면 전달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2. 작동원리

통증 정보는 말초 신경에서 척수(특히 후근의 고리 구조, 즉 후각이라 불리는 부위)로 들어오는데, 이때 두 종류의 신경섬유가 관여한다. A-델타 섬유와 C 섬유는 느리고 둔탁한 통증성 자극인데 이것이 관문을 열어 통증을 유도하고, A-베타 섬유가 빠르고 굵은 비통증성 자극으로 관문을 닫아 통증을 억제하는 것이다. 이 두 신경이 서로 영향을 주며 ’ 문’을 여닫아 통증을 조절한다.

우리가 어디 부딪혔을 때, 본능적으로 그 부위를 문지르는 이유도 이 이론으로 설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딪힌 부위를 문지르면 A-β섬유(촉각 정보)가 활성화되어 통증의 문이 닫히고, A-δ/C섬유(통증 정보)가 억제되는 것이다. 그래서 통증이 일시적으로 줄어든다.

3. 다른 영향

심리적·인지적 요인의 영향도 적지 않다. 주의, 정서, 기대 등도 관문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공포나 불안을 느끼는 상태라면 관문을 열어 통증을 더 느낄 수도 있고, 안심할 수 있는 상황이거나 주의가 분산 됐다면 관문을 닫아 통증을 덜 느끼게 되기도 하는 것이다. 

4. 마치며

통증은 단순 감각이 아니라, 중추신경계에서 조절되는 ‘인지적 경험’이라는 점이 중요하다. 통증관문조절이론 Gate Control Theory of Pain으로 물리치료, 마사지, TENS(경피신경전기자극) 같은 비침습적 치료가 왜 효과적인지를 설명할 수 있다. 인지행동치료(CBT), 주의 전환, 이완 훈련 등도 충분히 중요한 것이다. 

 

통증이 단순히 조직 손상의 결과가 아니라, 인지적 해석이 포함된 복합적 경험이라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통증관문조절이론은 신경계의 통증 처리에 심리적·정신적 요소가 관여함을 인정한 최초의 이론이다. 하지만 만성통증, 신경병증성 통증 등 복잡한 통증을 완전히 설명하진 못한다.


그리고 이후, 멜잭의 ‘신경행렬이론(Neuromatrix Theory)’로 이어지면서, 더 복합적인 통증 개념이 등장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