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말이 곧 행동이다: 수행성이 만드는 현실

by Godot82 2025. 4. 23.
반응형

수행성-performativity
수행성-performativity

1. 수행성(performativity)

어느 비 오는 오후, 창밖으로 빗방울이 톡톡 떨어지는 소리를 들으며 친구와 카페에 앉아 있었다. 따뜻한 커피 잔을 손에 쥐고 있던 그때, 친구가 문득 말했다. “내일 파티에 널 초대할게.” 그 순간, 나는 파티에 초대된 사람이 되었다. 친구의 말 한마디가 나의 현실을 바꾼 것이다. 이처럼 우리의 말이 단순한 소리를 넘어 실제로 행동이 되고 현실을 형성하는 현상을 ‘수행성’이라고 한다.

 

수행성(performativity)은 영국의 철학자이자 언어학자인 존 랭쇼 오스틴(John Langshaw Austin)이 1961년에 제안한 개념이다. 그는 그의 저서 『말하는 것으로서의 행위(How to Do Things with Words)』에서 언어가 단순히 정보를 전달하는 도구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행위를 수행하거나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예를 들어, 결혼식에서 주례자가 “지금 이 순간부터 두 사람은 부부입니다.“라고 선언하는 것은 단순한 진술이 아니라, 그 발화 자체가 결혼이라는 행위를 완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발화를 ‘수행적 발화’라고 부른다. 

2. 일상 속 수행성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수행성은 곳곳에서 발견된다. 예를 들어, 법정에서 판사가 “무죄를 선고합니다.“라고 말하면, 그 말은 단순한 진술이 아니라 피고인의 법적 지위를 변화시키는 행위가 된다. 또한, 친구와의 약속에서 “내일 3시에 만나자.“라고 말하는 것은 단순한 제안이 아니라, 그 약속을 성립시키는 행위이다. 이처럼 우리의 말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행동이 되고 현실을 변화시키는 힘을 지닌다.

3. 주디스 버틀러와 수행성

철학자 주디스 버틀러(Judith Butler)는 오스틴의 수행성 개념을 성(젠더) 정체성에 적용하여 새로운 시각을 제시했다. 그녀는 성별이 타고난 본질이 아니라, 사회적 행위를 통해 반복적으로 수행되며 형성된다고 주장했다. 즉, 우리가 일상에서 행하는 행동과 말이 성별 정체성을 만들어낸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특정한 옷을 입거나 말투를 사용하는 것은 사회적으로 기대되는 성별 역할을 수행하는 행위로, 이러한 반복적인 수행을 통해 성별 정체성이 형성된다는 것이다.

4. 수행성과 예술

수행성 개념은 예술 분야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극이나 퍼포먼스 아트에서 배우나 예술가는 특정한 행동이나 말을 통해 관객과 소통하며, 그 행위 자체가 예술 작품이 된다. 예를 들어, 연극 무대에서 배우가 “나는 왕이다.“라고 선언하면, 그 순간 그는 무대 위에서 왕이 된다. 이러한 예술적 행위는 수행성을 통해 새로운 현실을 창조하는 것이다. 

5. 수행성의 힘

말은 현실을 변화시키는 강력한 힘을 지니지만, 그만큼 책임도 따른다. 부주의한 말 한마디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줄 수 있고, 반대로 진심 어린 말은 큰 위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말의 힘을 인지하고,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특히 공적인 자리에서의 발언이나 약속은 그 무게를 깊이 생각하고 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