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대한민국의 인공지능(AI), LG 엑사원(EXAONE)

by Godot82 2025. 2. 14.
반응형

엑사원-LG EXAONE
LG AI 엑사원

 

1. AI와 스마트폰

최근 AI관련 정보나 책을 많이 읽게 됐다. 해외에서는 난리라는데, 우리나라에서는 생각보다 큰 반응이 없는 것 같기도 하다. 정치 상황도 불안정하고 먹고살기도 힘든 지경이라 더 이상 다른 분야에 관심을 쏟을 기운이 없는 건지도 모르겠다. 대한민국 국민으로 살기가 정말 쉽지 않다.

 

며칠 전 동네 대형마트에 가서 신형 스마트폰을 전시해 놓은 매장을 구경하는데, 뭔가 전과는 다른 느낌을 받았다. 단순히 스마트폰의 기술적 향상을 중점적으로 홍보하던 방식이 아니었다. 화성에 토끼까지 찍는 렌즈니 화소니 하는 소개도 없고, 고사양의 게임을 이전보다 더 빠르게 실행하고 즐길 수 있다고 하는 문구도 없었다. 스마트폰 대신 다른 걸 강조하고 있었다.

 

그것은 스마트폰에 내장된 AI였다. 이제 스마트폰 판매 전략은 AI로 초점이 맞춰진 것 같았다.

 

2. 대한민국의 AI

어떤 학자는 AI나 챗GPT의 탄생을 스마트폰의 탄생보다 몇 배 더 강력한 대이변 혹은 전환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그래서 특이점이라는 표현까지 쓰는 건가 싶다. 챗GPT 탄생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에 중국이 만들어낸 딥시크에 세계가 여러 의미로 놀랐다. 기사를 보다가 문득, 의문이 생겼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AI나 챗GPT 같은 건 정말 없는 걸까?

 

3. LG 엑사원(EXAONE)

요 며칠 LG 관련 기사를 몇 개 봤다. LG AI연구원이 개발한 엑사원(EXAONE)과 관련된 기사들이다. 우선 반가운 마음이 들었다. 우리나라에서 개발한 오픈소스 AI 모델이 있다는 게 다행스럽다는 생각과 함께였다. 앞서 언급했듯 엑사원(EXAONE)은 LG의 인공지능이다. LG AI연구원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이라고 한다.  

 

4. LG 엑사원(EXAONE)의 특징

엑사원(EXAONE) 2.0은 AI연구자와 협력 대학을 대상으로 한 전문가용 대화형 AI 플랫폼이라고 한다. 세분화된 플랫폼에 맞게 신소재나 신물질, 신약 개발에 적용되고, 문자뿐 아니라 수식, 이미지, 차트 등 AI를 적용해 연구개발 시간을 단축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지와 문자를 기반으로 창의적 영감을 제공하는 멀티모달 AI 기술을 활용한다고도 한다.

 

엑사원(EXAONE) 3.5는 사용 목적에 따라 초경량(2.4B), 경량(7.8B), 고성능(32B) 모델로 나뉜다. A4용지 100쪽이 넘는 양의 문서를 요약하고, 코딩이나 번역 등 다양한 업무를 지원한다. 이전 모델에 비해 메모리 사용량이 35% 감소했고, 구동하는 데 비용도 72%나 절감했다고 한다. 특히, 해외 경쟁 모델들과 비교해서도 우위를 확보했다.

 

엑사원(EXAONE)은 LG AI 기술력을 대표하는 모델이다. 한국어와 다국어 처리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하고 있다고 하며 중요한 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점이다.

 

5. 챗엑사원(Chat EXAONE)

챗엑사원(Chat EXAONE)은 엑사원 3.5를 기반으로 한 AI 비서 서비스라고 한다. 문서를 요약해 주고 번역을 하거나 데이터 분석을 지원한다. 중요한 건 직무별 프롬프트를 제공하기 때문에 초보 사용자도 쉽게 질문을 설정하고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래프를 만드는 것도 가능하고, 사용자의 검색과 업로드한 자료를 바탕으로 답변하며 출처 선택 기능이 있기 때문에 영상이나 학술자료에서 정보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6. LG스마트폰 챗엑사원(Chat EXAONE)을 기대하며

LG는 2021년 7월 스마트폰 사업을 종료했다. 개인적으로 LG 스마트폰 디자인을 좋아했다. 특히 쿼티 키보드를 탑재한 옵티머스 시리즈에 애착이 있었다. 물리 키보드를 누르는 것을 좋아해서 블랙베리 스마트폰도 사용했었다. 하지만 블랙베리도 스마트폰 사업에서 철수했다. 시장 변화와 경쟁에서 실패해 사라진 스마트폰이지만, 챗엑사원(Chat EXAONE)이 더해진다면 얘기가 달라질 것 같다. 아날로그 감성을 떠올리게 하는 외형에 엄청난 AI가 내장되어 있다면 굉장히 흥미로울 것 같다. 

 

LG는 2027년까지 AI 분야 연구에 3조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한다. 대한민국 브랜드인 LG가 스마트폰 시장을 석권하는 날이 올 수도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는 매우 응원한다. 

반응형